5분만 투자하면 안전행동을 촉진하는 방법을 알 수 있어요! ✔ 순응행동과 참여행동의 차이에 관해 알아보세요. ✔ 자발적인 참여행동의 다양한 형태에 관해 확인해 보세요. ✔ 순응행동과 참여행동을 촉진하는 방법에 관해 알아보세요.
“어떻게 하면 근로자들이 안전 규정을 더 잘 지킬 수 있을까?”
안전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질문이지 않을까요? 규칙만 더 잘 지켜도 사고가 줄어들 것이라는 생각을 한 번쯤을 해보셨을 것입니다.
불안전한 행동은 산업재해의 원인 중 무려 96%를 차지합니다. 그만큼 근무 현장에서의 행동은 안전관리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하는 요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안전관리를 할 때, 어떤 종류의 행동을 어떻게 촉진해야 하는지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안전의 기초, 순응행동
순응행동은 정해진 규칙과 절차를 준수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하거나, 정해진 절차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사고를 예방하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순응행동은 안전의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순응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관리자는 꾸준히 근로자들의 작업 방식을 점검하고, 규정 위반을 바로잡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순응행동에만 초점을 맞추다 보면 몇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우선, 순응행동은 관리자의 지시에 따라 의무적으로 행동하는 데 익숙해지게 만들기 때문에 근로자 스스로 안전 문제를 발견하거나 해결하려는 자율성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변화와 불확실성이 많은 환경에서는 순응행동만으로는 새로운 위험에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참여행동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참여행동은 단순히 규정을 지키는 것을 넘어, 근로자들이 자발적으로 안전 활동에 참여하고 조직의 안전 문화를 개선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서로의 안전을 위해 소통하고 지원하며 자발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바로 참여행동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이는 개인이 자신에게 주어진 의무에 따라 규칙을 준수하는 것에 국한되는 순응행동과의 큰 차이점입니다.
성숙한 안전문화의 핵심, 참여행동
순응행동은 정해진 규칙을 따르는 것이기 때문에 비교적 명확하게 느껴지는 반면, 참여행동은 어떤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인지 모호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참여행동은 몇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해 볼 수 있는데, 그중 세 가지 기준을 활용해 참여행동의 다양한 형태들을 살펴보겠습니다.
협력적 행동과 도전적 행동
협력적 행동은 동료들과 조화를 이루며 안전 문제를 해결하려는 행동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동료가 장비를 안전하게 사용하는지 확인해 주거나, 위험한 상황을 목격했을 때 서로 도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반면 도전적 행동은 기존의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고 더 나은 해결책을 제안하는 행동입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안전 장비 도입을 제안하거나, 기존 절차의 문제점을 리더에게 알리는 것이 도전적 행동입니다.
사람 중심 행동과 조직 중심 행동
사람 중심 행동은 동료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거나 안전의식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예를 들어, 동료에게 안전교육 내용을 공유하거나, 처음 작업을 시작하는 동료에게 올바른 절차를 알려주는 행동이 이에 해당합니다. 조직 중심 행동은 회사 전체의 안전 문화를 강화하는 행동입니다. 예를 들어, 안전 워크숍을 기획하거나, 새로운 안전 정책을 제안하는 것이 좋은 예입니다.
예방적 행동과 촉진적 행동
예방적 행동은 위험을 줄이고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장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즉시 보고하거나, 작업 전에 안전 점검을 수행하는 행동입니다. 촉진적 행동은 사고를 예방하는 것뿐 아니라, 더 나은 안전 문화를 만들기 위해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작업 공간의 조명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행동이 이에 해당합니다.
위에서 살펴본 참여행동의 종류들은 서로 완전히 구분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동료가 사용하는 장비의 이상을 확인해 주는 것은 협력적 행동이면서 사람 중심의, 예방적 행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참여행동의 핵심이 개인이 아닌 관계에 있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안전을 개인의 문제가 아닌 집단이 함께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보는 관점을 Mindful Organizing(조직적 대응체계)이라고 합니다. 조직적 대응체계는 예상치 못하게 발생하는 위험을 조직적으로 발견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규칙에 의존하는 개인은 이미 알려진 위험에 대해서만 대비할 수 있는 반면, 자발적으로 나와 동료를 위해 행동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은 다양한 종류의 위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참여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
참여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안전에 대해 자발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태도와 인식의 전환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인 강의 형식의 교육보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동료와 소통해 보는 경험을 제공하는 참여형 교육 또는 워크샵이 적절합니다.
예를 들어, 실제 상황을 바탕으로 한 시뮬레이션 훈련이나, 그룹 토론을 통해 근로자들이 서로의 경험과 아이디어를 나누는 방식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교육은 근로자들에게 안전에 대한 주인의식을 심어줄 뿐 아니라, 동료와 협력하는 것의 필요성에 깊이 공감할 수 있게 합니다.
한편 리더의 태도와 행동 또한 참여행동을 촉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리더는 근로자들의 의견에 귀 기울이고, 그들의 노력을 인정하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들은 자신이 조직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안전 코칭은 리더가 근로자들과 소통하고, 그들이 더 나은 안전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안전 코칭을 통해 리더는 근로자들과 신뢰를 쌓고, 자발적인 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결국 핵심은 행동 변화
더 안전한 근무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우리는 행동에 주목해야 합니다. 누군가의 행동으로 인해 재해가 발생하고, 또 다른 누군가의 행동으로 인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순응행동과 참여행동은 모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중요한 행동이지만, 이를 촉진하기 위한 방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구분해서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순응행동은 규칙과 처벌, 보상과 같은 관리의 방식으로 촉진할 수 있는 반면 참여행동은 구성원의 의식 변화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구성원의 의식 변화는 쉽지 않은 과제이지만, 세이프티온솔루션은 참여형 워크샵 및 안전코칭 노하우를 활용해 의식과 태도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이루어내는 노하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근로자들이 서로의 안전을 위해 협력하고, 목소리를 내는 성숙한 안전문화로 나아가기 위해 새로운 시도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SAFER Coach 세인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근로자들이 단순히 규칙을 따르는 순응행동을 넘어서 참여행동을 자발적으로 실천하도록 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일까요?
참여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리더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요? 리더의 태도와 행동이 근로자들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근로자들이 서로 협력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협력적 행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가요?
기존의 절차와 방식에 도전하는 도전적 행동을 장려하려면 조직은 어떤 문화를 만들어야 할까요?
근로자들이 안전 규정을 스스로 준수하고 개선안을 제안하도록 동기부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무엇인가요?
성숙한 안전문화를 만들기 위해 조직은 어떤 실질적인 변화를 시도해야 할까요?
[참고문헌]
문광수, 이재희, & 오세진. (2013). 관리자의 안전 리더십과 조직 내 안전 분위기가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안전학회지, 28(2), 66-72.
문광수, 이재희, & 오세진. (2011). 조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안전 분위기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1), 51-73.
Geller, E. S. (2005). Behavior-based safety and occupational risk management. Behavior modification, 29(3), 539-561.
Omidi, L., Bahrami, M., Dolatabad, K. M., Zakerian, S. A., & Azam, K. (2024). Mindful organizing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group safety climate and safety-related behaviors among operating room team members. Perioperative Care and Operating Room Management, 34, 100351.
Prasetiawan, S. T., Ahmad, I., Setyawati, A., & Zainal, M. (2024). Safety behavior model based on safety competence, culture, and awareness. JPPI (Jurnal Penelitian Pendidikan Indonesia), 10(1), 622-634.
Rusyda, H. M., & Aziz, S. F. A. (2021). The Development of Safety Behavior: A 30-Year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Academic Research in Economics and Management Sciences, 10(1), 46-7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