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분만 투자하면 안전관리를 효율화할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어요! ✔ 안전관리 활동이 늘어날수록 안전성과가 반드시 늘어나는지 알아보세요. ✔ 우리 조직이 안전과잉 상태에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보세요. ✔ 안전과잉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세요.
노력할수록 위험해지는 현장?
한 제조 공장의 흥미로운 아이러니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더 안전해지려 노력할수록 오히려 위험해질 수 있다는, 다소 역설적인 이야기입니다.
이 공장은 최신 장비를 도입하며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었습니다. 경영진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했고, 그래서 위험성평가부터 안전회의, 교육까지 삼중 방어망을 구축했죠. 하지만 과유불급이라고 했던가요?
위험성평가는 마치 눈덩이처럼 불어났습니다. 새로운 위험 요소를 찾을 때마다 이전 내용에 덧붙여 기록했는데, 결국 이 문서는 도서관의 백과사전보다 더 두꺼워졌습니다. 정작 급한 상황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으려면 마치 건초더미에서 바늘을 찾는 것 같은 상황이 되어버렸죠.
안전회의 역시 의도와는 다르게 흘러갔습니다. 회의실에 모인 사람들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다시 듣느라 시간을 보냈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논의해야 할 시간에는 서류 작성에 매달려야 했습니다. 마치 같은 다큐멘터리 영화를 여러 번 보는 것처럼 지루한 시간이 이어졌죠.
교육도 이와 비슷한 패턴을 보였습니다. 근로자들은 이미 위험성평가에서 들은 이야기, 안전회의에서 들은 이야기를 또 다시 듣게 되었습니다.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과는 상관이 없는 내용도 비일비재했어요. 우리 현장을 충분히 담아내지 못해 공감을 얻지도 못했죠. 결국 새로운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려던 교육이 오히려 매너리즘을 낳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안전을 위한 세 겹의 보호망이 오히려 안전의식을 무디게 만드는 역효과를 낳은 것이죠. 때로는 덜 하는 것이 더 하는 것보다 나을 수 있다는 교훈을 주는 사례가 아닐까요?
Safety Clutter, 안전 과잉
위 예시는 과도한 안전 활동과 문서화로 인해 정작 중요한 위험요인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모두가 규정에 따라 행동하고, 관련 문서를 꼼꼼히 작성하며, 절차에 따라 움직이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위험이 놓쳐지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안전을 위한 노력이 오히려 안전을 위협하는 것을 safety clutter(안전 과잉)라고 합니다.
‘Clutter’는 공간이나 마음속이 불필요한 것들로 어지럽혀진 상태를 말합니다. Safety clutter는 바로 이런 현상이 안전 관리에서 일어나는 것을 뜻해요. 즉, 너무 많은 안전 절차와 문서, 정책이 쌓이면서 정작 중요한 위험 요소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문서와 절차가 많아지면서 근로자들은 중요한 정보와 위험 요소를 놓치기 쉽고, 시스템은 더 복잡해져 안전 성과가 저하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Safety Clutter는 왜 생길까요?
1. 한정된 자원의 비효율적 활용
수확체감의 법칙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처음에는 어떤 노력을 기울일수록 성과가 크게 나지만,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더 많은 노력을 해도 효과가 줄어드는 현상을 말합니다. safety clutter도 이와 비슷합니다. 새로운 안전 절차나 규정을 추가하면 초반에는 개선 효과가 크지만, 시간이 지나 복잡성만 늘어나고 실제 효과는 점점 줄어드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한정된 시간과 예산, 그리고 구성원들의 에너지를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2. 파편화된 법적 의무 사항 이행
Safety clutter가 발생하는 또다른 이유는 다양한 법적 의무사항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위험성평가 과정에서 작성하는 많은 종류의 문서들은 안전 회의와 교육에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등의 법령에서 요구하는 많은 의무 사항들을 모두 개별적인 활동과 문서로 준수한다면 지나치게 많은 문서 작업이 필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Safety Clutter가 안전에 미치는 영향
1. 피로감으로 인한 근로자 참여 저하
문서와 절차가 많아질수록 근로자들이 감당해야 할 일도 늘어납니다. 근로자들은 점점 더 많은 점검표를 작성하고 규정을 따르는 데 시간을 쓰게 되고, 이로 인해 본래의 업무에 집중할 여력이 줄어들게 됩니다. 결국 근로자들은 복잡한 절차에 피로감을 느끼며, 이를 최소화하려고 더 편리한 방식을 선택하는 경향이 생깁니다. 그 방식은 종종 규정을 무시하거나 중요한 요소를 놓치는 위험을 초래합니다.
2. 중요한 위험 요소를 간과하게 됨
Safety clutter는 단순히 근로자들의 피로를 초래할 뿐 아니라, 정말 중요한 위험 요소의 관리를 방해합니다. 특히, 심각한 부상이나 치명적 사고(SIF, Serious Injury and Fatality)를 초래할 수 있는 사건들을 관리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SIF는 일상적인 사고와 달리 생명과 직결된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SIF와 관련된 위험을 잘 찾아내고 미리 대비하면 큰 사고를 막을 수 있고,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 사고를 더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Safety clutter가 많아질수록 이런 중요한 위험 요소가 부차적인 작업들에 가려져 적절히 관리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Safety Clutter를 해결하기 위한 질문
1. 우리의 안전 절차 중 실제 안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전 프로그램과 정책 중 진정으로 효과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해,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순위가 낮은 것을 제거하고 높은 것을 강화하세요.
2. 현장 근로자들은 어떤 부분이 불필요하다고 느끼고 있나요?
근로자들은 어떤 안전 활동이 실제로 도움이 되고, 어떤 것이 그렇지 않은지 가장 잘 알고 있습니다. 그들의 피드백을 듣고 절차를 개선하세요.
3. 현재의 안전 절차가 너무 복잡하진 않나요?
절차와 규정을 단순화할 방법은 무엇인지 고민해 보세요. 새로 추가하기보다는 기존의 과정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4. 안전 프로그램의 성과를 어떻게 평가하고 있나요?
안전 관리 노력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정기적으로 점검하세요. 투입한 노력 대비 효과가 줄어들고 있다면, 프로그램을 재조정할 때입니다.
단순하고 실질적인 접근이 핵심입니다
안전을 위해 시스템과 문서를 많이 만드는 것이 항상 좋은 것은 아닙니다. Safety clutter를 줄이고, 진짜 중요한 위험 요소에 집중하면 더욱 안전한 작업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더 단순하고 실질적인 시스템이 여러분의 조직과 작업 현장을 더 안전하게 만들 것입니다.
세이프티온솔루션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컨설팅 프로그램 Safety System RE:Boot(시스템 리부트)에서는 기존의 시스템이 safety clutter를 만드는 지점을 발견하고 개선하는 작업을 담당자들과 함께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다양한 요소들이 연결되는 지점을 찾고, 시스템의 구조와 운영 측면에서 더욱 높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너무 많은 문서 작업과 과도한 절차를 개선하고 싶다면, 세이프티온솔루션과 함께 해보세요!
[SAFER Coach 세인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우리 조직의 안전 절차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요?
근로자들이 현재 안전 절차에서 가장 불편하게 느끼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우리 조직의 안전 문서와 규정이 너무 복잡하지는 않나요?
현재의 안전 프로그램이 실질적으로 성과를 내고 있나요?
SIF(Serious Injury and Fatality)와 같은 핵심 위험 요소를 충분히 관리하고 있나요?
새로운 절차나 프로그램이 기존 시스템과 충돌하거나 중복되고 있지는 않나요?
안전 절차가 근로자들에게 피로감을 유발하고 있지는 않나요?
근로자들이 안전 규정을 무시하려는 경향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전 절차를 준수하는 데 드는 시간이 본 업무에 방해가 되고 있지는 않나요?
안전 절차와 시스템의 효과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조정하고 있나요?
[참고문헌]
Bourrier, M., & Bieder, C. (2013). Trapping safety into rules: An introduction. Trapping safety into rules. How desirable or avoidable is proceduralization (pp. 1–9). Farnham: Ashgate.
Dekker, S. (2014b). The bureaucratization of safety. Safety Science, 70, 348–357.
Hale, A., & Borys, D. (2013). Working to rule, or working safely? Part 1: A state of the art review. Safety Science, 55, 207–221.
Leape, L.L. (2014). The checklist conundrum.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0(11), 1063–1064.
McDonald, N., Corrigan, S., & Ward, M. (2002). Well-intentioned people in dysfunctional systems. In Keynote presented at f ifth workshop on human error, safety and systems development. Newcastle, Australia.
Provan, D.J., Dekker, S.W., & Rae, A.J. (2018). Benefactor or burden: Exploring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safety professionals. Journal of Safety Research, 66,21–32.
Rae, A. J., Provan, D. J., Weber, D. E., & Dekker, S. W. (2018). Safety clutter: the accumulation and persistence of ‘safety’work that does not contribute to operational safety. Policy and practice in health and safety, 16(2), 194-21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