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세이프티온솔루션 로고

안전문화의 변화를 위한 8가지 전략

작성자 사진: sam400049sam400049
5분만 투자하면 안전문화 개선에 필요한 8가지 전략을 알 수 있어요! 존 코터의 변화 관리 모델을 안전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안전문화 개선을 위한 노력을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확인해보세요. 안전문화가 변화하기 위해 리더십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알아보세요.

어떤 조직에서든 안전문화를 바꾸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아무리 새로운 정책을 도입하고 교육을 해도 직원들의 태도가 변하지 않는다면, 변화는 요원해 보일 수 있습니다.


안전문화를 변화를 이끌어내는 일에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효과적인 전략을 활용한다면 딱딱하게 굳어있는 것처럼 보였던 안전문화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존 코터(John Kotter)의 변화 관리 모델을 토대로 안전문화의 변화를 위한 8가지 전략을 소개하겠습니다.



1. 긴박감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전이 중요하다."는 말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직원들이 안전의 필요성을 공감하려면 실제 사고 데이터와 사례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특히, 우리 조직에서 발생했던 사고 사례를 공유하면 직원들은 더 현실적으로 느끼고, "이런 일이 다시 발생하면 안 된다."는 위기감을 갖게 됩니다.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교육이 직원들의 태도를 변화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2. 강력한 안전 리더십을 구축합니다

변화를 주도하는 리더의 존재는 안전문화 개선에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단순히 관리자가 아닌, 현장 작업자, 안전 담당자, 팀 리더 등 다양한 역할을 맡고 있는 사람들이 변화의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신뢰받는 리더들이 직접 모범을 보이면, 다른 직원들도 자연스럽게 따라오게 됩니다. 리더들의 리더십 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교육과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리더십을 토대로 명확한 안전 비전과 전략을 수립합니다

안전문화 개선을 위해서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비전과 전략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더 안전한 작업 환경을 만들자"는 목표보다는, "누구든 30분 안에 위험 요소를 보고할 수 있도록 위험 요소 보고 체계를 개선한다"와 같이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목표를 모든 직원이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변화를 공유하고 적극적으로 소통합니다

아무리 좋은 전략이 있어도 직원들이 그 변화를 이해하고 동참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습니다.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필수적입니다. 예를 들어, 안전 켐페인의 배경과 목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설명회를 진행하거나, 워크숍을 통해 직접 토론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포스터나 내부 공지를 활용해 변화를 지속적으로 알리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중요한 것은 단 한 번의 홍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모든 직원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5. 변화를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고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변화를 시도할 때, 기존의 불편한 절차나 비효율적인 시스템이 장애물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험 요소를 신고하는 과정이 지나치게 복잡하면 직원들은 신고를 꺼릴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방해 요소를 제거하면 변화가 훨씬 자연스럽게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앱이나 QR 코드를 활용해 신고 절차를 간소화하면 직원들의 참여율이 높아지고, 위험 요소가 빠르게 개선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은 변화들이 모이면 궁극적으로 조직의 안전문화가 정착되고, 모든 직원이 보다 능동적으로 안전을 실천하는 환경이 만들어집니다.


6. 단기 성과를 창출하여 동기 부여합니다

변화를 위한 장기간의 과정에서 동기 부여는 필수적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성취할 때마다 직원들과 함께 축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3개월 내에 위험 요소 신고율을 50% 증가시킨다."와 같은 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목표를 달성하면 이를 공개적으로 인정하고, 포상이나 감사의 메시지를 전하는 등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러한 작은 성공들이 직원들에게 변화의 의미를 체감하게 해 줍니다.


7. 변화를 지속적으로 점검합니다

단기적인 성공에 만족해서는 안 됩니다. 변화가 일시적인 이벤트로 끝나지 않고 조직의 습관이 되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정기적인 리뷰와 피드백 세션을 통해 안전문화 개선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필요한 부분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안전 지표를 모니터링하면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고, 조직 전체가 함께 고민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8. 변화를 조직 문화로 정착시킵니다

안전이 규칙이나 캠페인에 그치지 않고, 조직의 핵심 가치로 자리 잡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신규 직원 교육 과정에 안전문화를 포함시키고, 안전 관련 성과를 인사 평가에 반영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전이 모두에게 자연스럽고 당연한 우선순위로 여겨질 수 있도록 변화를 추진해야 합니다.


지금이 바로 변화를 시작할 때입니다!

안전문화 강화를 목표로, 조직 전체가 전략적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안전 리더십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안전 리더십 모델 ASaP에서는 안전 리더십의 핵심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1. 안전 비전 : 명확한 안전 목표를 세우고 공유하는 힘

  2. 예방적 안전 관리 : 위험 상황을 미리 대비하고 신속히 해결하는 힘

  3. 체계적 성과 관리 : 데이터로 안전 성과를 측정하고 개선하는 힘

  4. 안전 문화 구축 : 자유로운 소통과 협력을 이끄는 힘


세이프티온솔루션은 안전리더십 모델 ASaP를 기반으로 안전 리더십 교육과 코칭을 진행합니다. 세이프티온솔루션의 안전리더십 교육 및 코칭은 각 조직의 리더가 안전을 중심으로 생각하고, 더욱 안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전략들이 추진력을 얻을 수 있게 합니다.


안전문화는 단번에 바뀌지 않습니다. 하지만 지금부터 체계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면, 조직 전체가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문화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안전문화의 변화를 이끌어갈 안전 리더십을 세우는 일, 세이프티온솔루션과 함께 해보세요!




[SAFER Coach 세인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 우리 조직의 안전문화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직원들이 충분히 인식하고 있을까요?

  • 현재 조직 내에서 신뢰받는 리더들은 누구이며, 이들을 어떻게 변화의 중심에 세울 수 있을까요?

  • 우리 조직은 안전문화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와 전략을 가지고 있을까요?

  • 직원들이 변화를 쉽게 이해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소통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 안전문화의 변화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무엇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법은 무엇일까요?

  • 단기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작은 목표를 설정한다면, 무엇을 목표로 세울 수 있을까요?

  • 우리 조직은 변화가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지 않도록 지속적인 점검과 피드백을 제공하고 있나요?

  • 지금 당장 실행할 수 있는 변화의 첫걸음은 무엇일까요?




[참고문헌]

  • 문광수, 이재희, & 오세진. (2013). 관리자의 안전리더십과 조직 내 안전 분위기가 근로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안전학회지28(2), 66-72.

  • 서현정, & 홍아정. (2020). 안전리더십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안전학회지 (구 산업안전학회지)35(6), 61-77.

  • 이경훈. (2011). 사업장 관리자의 안전리더십이 작업장 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Doctoral dissertation, 조선대학교 대학원).

  • 정하, 수란, & 손영우. (2015). 변혁적 안전리더십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전분위기, 안전동기의 매개효과와리더에 대한 신뢰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28(2), 249-274.

  • Cameron, K. S., & Quinn, R. E. (2011).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3r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Kotter, J. P. (1998). Leading change: Why transformation efforts fail. Harvard Business Review, 73(2), 59-67.

  • Schein, E. H. (2010).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4th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Commenti


  • Instagram
  • 블로그1
  • LinkedIn

TEL 031-781-8801

FAX 0503-8379-4021

본사 15811 | 경기도 군포시 군포로 713-1, 1005호(금정동, 진원타워)
안양 14118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116번길 25-32, 607호 (호계동, 안양 SK V1 center)

ⓒ SafetyON Solution Co., Ltd. 2024

©2021 (주)세이프티온솔루션  대표자 : 이종현  사업자등록번호 : 199-81-02200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