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sam400049

안전지수제, 이것만 알아두면 얼마든지 대비할 수 있다

5분만 투자하면 '안전지수제'를 대비하는 방법을 알 수 있어요! 공공 공사장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안전지수제의 핵심을 알아보세요. 데이터에 기반한 안전 관리 방식이 어떻게 현장의 큰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지 알아보세요. 안전지수제를 대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수집과 지속적인 개선 노하우를 확인해보세요.

오늘은 서울시에서 도입한 안전지수제에 대해 쉽게 설명 드리고, 이 제도에 대비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안전지수제는 공공 공사장의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 공사장의 안전 수준을 점수로 평가해서 위험한 곳을 미리 찾아내고,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안전지수제가 시행되면 서울시 안전점검팀에서 매월 불시 점검을 통해 작업자의 안전의식과 안전교육부터 작업환경과 시설 및 장비까지 공사장의 안전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그 결과 평가 점수가 높은 공사장은 서울시 건설공사 입찰에서 가점을 받을 수 있고, 총 100점 중 40점을 넘지 못하는 공사장은 즉시 공사를 중지하는 등 평가 결과에 따른 불이익과 인센티브가 모두 명확합니다.


출처 : 서울시 안전관리과 보도자료


안전지수제, 꼭 필요한건가요?


안전지수제의 평가 항목은 총 7대 영역과 24개의 세부 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다 보면, 이 모든 항목들을 작업장 내에서 언제 다 일일이 관리하고 점검해야 할지 막막한 마음이 들 수 도 있어요. 하지만 이러한 지표들을 꾸준히, 그리고 꼼꼼히 관리하면서 데이터가 누적된다면 우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큰 사고들을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사고를 예측한다는 개념은 아주 새로운 이야기는 아닙니다. 산업재해 고위험요인, SIF(Serious Injury and Fatality)에 관해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SIF는 우리 현장의 위험요인 중에서도 큰 사고로 이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진 위험요인들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굴착장비를 반입하는 상황은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SIF로 분류됩니다. 그동안의 사고를 종합해볼 때, 굴착장비를 반입하면서 심각한 사고가 많이 일어났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SIF는 현장의 모든 위험 요인을 관리하는 대신, 정말 심각한 결과를 낳을 가능성이 있는 고위험 요인들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줍니다.


현장의 상황이 계속해서 변화하는 만큼, 어떤 위험 요인이 심각한 결과를 낳을 가능성이 있는 지에 대한 분석도 지속적으로 필요해요. 그러기 위해서는 고위험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계속 모아서 어떻게 하면 가장 효과적으로 이 위험을 줄일 수 있을지 분석해야 합니다.


안전지수제가 도입된 배경도 SIF와 같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심각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라는 점에서 유사합니다. 여러 평가 항목들을 활용해 공사 현장에서 안전과 위험에 관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모으고, 위험 신호가 나타나는 곳들에 미리 경고를 주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이미 사고가 일어난 곳에 출동하는 것이 아니라, 곧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음을 울리는 것이에요.

안전지수제에 효과적으로 대비하는 방법


그렇다면, 인제 우리는 안전지수제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여기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는 현장의 안전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를 닦는 것, 둘째는 평가 결과가 개선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것입니다.


데이터를 측정하고 수집하는 체계 마련


먼저, 안전지수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현장의 안전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수집하는 기반을 마련해야 합니다. 막연하게 느낄 수 있지만, 그 시작은 공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들을 놓치지 않고 기록하는 단순한 과정에 있습니다.


작업자와 관리자는 현장 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안전 점검 리스트를 통해 모든 위험 요소를 체계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각 평가 항목에서의 안전 수준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안전 관리 소프트웨어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활용해 데이터를 쉽게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하면 현장에서 어떤 문제가 반복되고 있는지, 어느 부분이 개선이 필요한지 명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장기적인 안전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도 유리해집니다.


평가 결과의 개선을 위한 지속적 노력


안전지수제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데이터를 수집하고 평가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점을 찾아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가 결과를 통해 발견된 문제나 약점은 즉각적으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실행에 옮겨야 합니다. 이러한 개선 과정은 작업자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현장에 적용되어야 하며, 모든 구성원이 개선된 안전 조치의 필요성과 그 효과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현장 상황에 맞게 맞춤형 안전 교육과 훈련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작업자들이 안전 규정을 숙지하고, 위험 상황에서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통해 개선 조치가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안전지수제를 통한 안전 관리의 궁극적인 목표, 즉 현장의 안전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게 됩니다.


나가며


안전지수제는 단순히 안전을 점검하는 도구가 아니라, 공사 현장에서의 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관리 체계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꾸준한 데이터 수집과 평가, 그리고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합니다. 안전이 우선 되는 현장은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내며, 모두의 노력으로 더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안전지수제를 도입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낯설고 어려울 수 있겠지만,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안전의 가치는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을 것입니다. 공사 현장의 모든 구성원이 함께 노력하여 안전지수제를 효과적으로 운영해 나간다면, 서울시는 물론 더 많은 곳에서 안전한 작업 환경을 실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SAFER Coach 세인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 안전지수제의 세부 지표 중에서 공사 현장에서 가장 관리하기 어려운 항목은 무엇일까요?

  • 안전지수제에서 고위험 작업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 작업자들에게 안전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은 무엇일까요?

  • 안전지수제에 따른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공사 현장의 안전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방안은 무엇일까요?

  • 안전지수제를 공사 현장에 적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요?



[참고자료]

  • 박환표, & 한재구. (2019). 통계자료를 활용한 건설안전 위험도 평가지수 개발. 한국건축시공학회지19(4), 361-371.

  • 서울특별시, 서울시, 전국 최초 안전사고 예측·방지 위한 안전지수제 도입…2025년 1월 전면 시행, 서울특별시 보도자료, 2024

  • 양용철, 최훈, & 김재준. (2004). 건설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개선과 공정관리와의 연계운영 방법.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5(2), 123-135.

  • 이종식. (2021). 건설현장의 안전문화 성숙도 평가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12), 33-46.

  • 전해경, & 권창희. (2016). 건설현장 안전문화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12(4), 403-411.

조회수 39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