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sam400049

안전 문화 간단하게 진단해보기

최종 수정일: 7월 12일

안전을 위해서는 안전한 문화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런데 사업장의 안전 문화가 잘 조성되어 있는지 아닌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우선 안전 문화가 정확히 무엇인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안전 문화의 의미

안전 문화 : 조직 내 모든 구성원이 안전을 중요하게 여기고 안전을 우선시하는 가치와 태도의 집합체

안전 문화는 단순히 안전 규정을 준수하는 것 이상을 의미해요. 조직의 모든 수준에서 안전이 최우선 과제로 인식되는 상태가 되어야 비로소 안전 문화가 잘 자리잡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전 문화의 목적은 조직 내 사고와 재해를 예방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여 모든 구성원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에요.


안전 문화 진단하기

안전 문화 진단하기

안전 문화는 몇가지 하위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안전 문화 수준이 높기 위해서는 각 요소들에 부합하는 특징이 현장에서 드러나야 합니다.


1) 안전에 대한 인식

안전에 대한 인식은 모든 구성원이 안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일상 업무에 반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인식하고 이를 사전에 관리하는 능력부터 출발해야 합니다. 안전 인식이 강화된 조직은 그렇지 않은 조직에 비해 사고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요.


2) 안전 행동

행동이 전부는 아니지만, 여전히 안전 문화의 중요한 하위요소에요. 안전 문화 수준이 높은 현장에서는 모든 직원이 안전 규정을 준수하고, 안전한 행동을 실천해요. 작업 시작 전에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안전 장비를 착용하는 것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바로 안전 행동에 해당됩니다.


3) 지속적인 개선과 교육

안전 문화는 어느 순간 안전한 상태가 된 것을 말하지 않아요. 지속적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안전 점검과 피드백이 필요하고, 발견된 문제점은 즉시 개선 조치를 취해야 해요. 그리고 정기적인 안전 교육과 훈련을 통해 모든 직원이 최신의 안전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것 또한 필요합니다.

안전 문화 진단에 대한 고민

간단하게 살펴보는 우리 조직의 안전 문화

우리 조직을 떠올리며 아래 질문들에 1~5점까지 점수를 매겨보세요. 그리고 왜 그런 점수를 주었는지 생각해보세요.


  1. 우리 사업장에서는 직원들이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얼마나 잘 인식하고 있나요?

  2. 우리 조직의 구성원들은 안전 규정을 얼마나 철저히 준수하고 있나요?

  3. 우리 사업장에서는 정기적으로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있나요?

  4. 안전 점검에서 발견된 문제를 신속하게 개선하기 위한 체계적인 과정이 마련되어 있나요?

  5. 우리 조직의 구성원들은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나요?


안전 문화 진단에 대한 고민

사실 이 모든 내용을 직관적으로 판단하기는 쉽지 않아요. 조직의 제도부터 시작해서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 현장에서 하는 행동까지 전반적으로 파악해보아야 우리 조직의 안전 문화가 얼마나 잘 자리잡고 있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많은 사업장에서는 안전 문화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해주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세이프티온솔루션은 이 모든 자료를 꼼꼼하게 수집하고 분석해서 우리 조직의 안전 문화 수준에 대해 총체적인 리포트를 제공합니다.


우리 조직의 안전 문화가 어떤 상태인지 정확하게 진단하고 더 나은 안전 문화를 만들어 가는 과정을 함께할 서비스를 이용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SAFER Coach 세인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 우리 조직에서 긍정적인/부정적인 안전 문화가 나타나는 측면은 무엇인가요?

  • 우리 조직의 안전 문화가 갖는 특징은 우리 조직의 안전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 우리 조직의 안전 문화 수준을 더 잘 파악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 우리 조직에서 안전 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일 수 있을까요?


[참고문헌]


이재환. (2016). 조직의 안전 문화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산업안전보건연구소.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2020). 안전 문화 수준 진단 및 향상 방안.

Cooper, M. D. (2000). Towards a model of safety culture. Safety Science, 36(2), 111-136.

Guldenmund, F. W. (2000). The nature of safety culture: A review of theory and research. Safety Science, 34(1-3), 215-257.



조회수 19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