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리더십은 일반 리더십과 다르다
- sam40004
- 3월 24일
- 5분 분량
5분만 투자하면 안전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 우리 조직의 안전 리더십이 어떤 상태인지 점검해보세요. ✔ 기존의 리더십과 안전 리더십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세요. ✔ 안전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확인해 보세요.
우리 조직의 안전 리더십 점검해보기
우리 조직의 리더들은 "안전이 가장 중요하다"는 말을 실제 행동으로 보여주고 있나요?
리더들은 사고 후 조치가 아니라, 미리 위험을 찾아내는 데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나요?
리더들은 감(경험)보다는 안전 관련 데이터를 보고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나요?
리더들은 안전을 직원들에게 "하라"고만 하지 않고 함께 실천하고 있나요?
안전을 잘 지킨 직원들에게 "잘했다"는 피드백을 정기 또는 비정기적으로 제공하여 안전 행동을 강화하고 있나요?
리더가 바뀌어도 우리 조직의 안전 관리 방식은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나요?
우리 조직에서 "안전 목표"는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실제 성과 평가에 반영되고 있나요?
위 질문들에 자신 있게 “예”라고 답변할 수 없다면, 지금 우리 조직에는 '안전 리더십' 개선이 필요합니다.
안전 리더십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연구에 따르면 리더십이 변화하면 사고율이 확실히 감소합니다. 반대로 리더십이 변하지 않으면 사고율 또한 줄어들지 않습니다.
실제 기업의 사례들은 이를 증명합니다. 세계에서 8번째로 많은 알루미늄을 생산하는 회사인 알코아(Alcoa)의 경우, 최고경영자(CEO)였던 폴 오닐이 적극적으로 안전 리더십 강화를 위한 활동들을 시작한 이후 사고율이 93% 감소했습니다. 100명당 1.86건의 사고가 있었던 회사에서 0.126건 수준의 사고율로 개선될 수 있었던 이유는 안전 리더십에 있었습니다.
안전하는 리더면 안전 리더십 아닌가요?
그냥 리더십이 아니라, 안전 리더십이 무엇일지 고민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안전 리더는 어떤 점이 달라야 할까요? 아래 예시를 읽어보면서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한 제조 공장에서 직원 한 명이 설비 점검 과정에서 바닥에 기름이 흘러,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관리자 김 팀장은 사고 소식을 듣자마자 현장으로 달려갑니다. 그는 즉시 사고 현장을 점검하고 직원의 부상 정도를 확인한 뒤, 바닥에 흘러 있던 기름을 청소하도록 지시합니다. 작업이 중지되어 생산 목표를 맞추지 못할 것을 걱정한 김부장은 직원들에게 빠르게 정상 운영을 할 수 있도록 당부합니다. 이후에 김부장은 미끄러짐 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교육을 추가로 실시합니다. 그리고 현장 직원들에게 작업 중 주의를 당부하며 자주 현장을 방문하고 점검합니다.
김 부장은 어떤 리더인가요? 그는 사고가 일어난 뒤에 빠르게 조치하고 안전 교육을 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현장 점검을 하기도 했습니다. 일반적인 리더십을 기준으로 볼 때 김 부장은 훌륭한 리더로 보입니다.
일반적인 리더십은 조직 내에서 발생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것에 관심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의 목적은 생산성, 즉 조직 성과를 창출하는 것에 있습니다. 리더를 평가할 때에도 생산성이 주요 지표이고,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은 그 리더 개인의 책임이자 역량입니다.
김부장의 리더십은 일반적인 관점에서 훌륭하지만, 이러한 리더십으로는 안전을 강화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그는 안전과 생산성 사이에서 늘 갈등해야 하며,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제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진짜 안전 리더십
이번에는 다른 예시를 통해 안전 리더십은 어떻게 달라야 하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최 팀장은 사고 발생 이전부터 현장의 위험 요소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었습니다. 기름 유출로 인한 미끄러짐 사고가 예상되는 설비 주변에 미끄럼 방지 매트를 설치하고, 미끄러짐 주의 표지도 설치했습니다. 그럼에도 사고가 발생하자, 최 팀장은 직원들과 사고 원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시간을 가집니다. 미끄러짐 방지 매트가 효과적이지 않다는 의견을 수렴한 최팀장은 다른 안전 장비의 도입을 검토합니다. 그리고 직원들이 급하게 이동해야 하는 구간이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합니다.
최 팀장은 사고가 나기 전부터 미끄러짐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파악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사고가 나기 전과 후 모두 사고 예방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원인을 분석하는 일에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 구성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안전 리더십은 이처럼 사고 발생 이전에 위험을 미리 예방하는 리더십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위험에 관한 데이터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안전 리더에게 성과는 곧 안전입니다. 안전 리더십은 조직 성과와 안전 성과를 함께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구성원들이 안전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목표 관리, 그리고 데이터 관리가 가능하려면 안전 리더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조직의 시스템의 변화 또한 필요합니다. 그래서 안전 리더십은 조직 전체의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기도 합니다.
만약 안전 리더십을 단순히 ‘리더십’의 일환이라고 생각한다면 이는 그다지 어렵지 않은 개념입니다. 하지만 현장의 안전 리더들이 여전히 안전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현실을 떠올려보면, 안전 리더에게는 무언가 다른 리더십이 필요한 것이 분명합니다.
안전 리더십 모델 ASAP
그래서 안전 리더십에는 안전 리더에게 주어진 역할과 책임에 걸맞은 안전 리더십 모델이 필요합니다. 안전 리더십 모델은 안전 리더들의 성장을 위한 이정표이자, 조직 차원에서 안전 리더십이 시스템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기 위한 밑그림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세이프티온솔루션의 안전 리더십 모델 ASAP은 SIF(Serious Injury and Fatality) 예방의 관점에서 사고를 예측하고 지속 가능한 안전문화 구축을 위해 안전 리더에게 필요한 네 가지 역량을 담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체계적 성과 관리(Accountable Performance Management)'입니다. 안전 리더는 안전 관련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내립니다. 그리고 지속적인 성과 측정 및 개선을 통해 안전 목표를 달성하도록 합니다.
두 번째, '안전 비전(Safety Vision)'입니다. 안전 리더는 조직의 안전 목표와 비전을 명확히 설정하고 구성원들과 지속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합니다. 이를 통해 모든 구성원이 안전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문화를 만듭니다. 구성원들이 안전 목표에 공감하고 실천하는 문화를 확립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세 번째는 '안전 문화 구축(Safety Culture Building)'입니다. 안전 리더는 구성원들이 안전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하고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심리적 안전감을 높이고, 조직 내 신뢰 기반의 안전 문화를 구축합니다. 구성원 간의 소통과 협력을 활성화하여 안정적인 안전 문화가 자리 잡도록 합니다.
네 번째는 '예방적 안전 관리(Preventive Safety Management)'입니다. 안전 리더는 위험 상황을 미리 인식하고 대비합니다. 현장 내에서 위험 요소를 미리 점검하고 사전에 예방 조치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사고 발생 시에는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여 상황을 안정화합니다.
세이프티온솔루션은 안전 리더십 모델 ASAP에 기반해 조직 내 안전 리더십을 진단하고,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안전 리더십 강화를 위한 맞춤형 교육을 운영합니다. 또한 조직 내에서 안전 리더십이 시스템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성과 지표를 통합하고 사고 예방 활동부터 개선까지의 피드백 루프를 강화하는 등의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안전 리더십 모델 ASAP은 사고를 예방하는 것을 넘어, 조직 전체의 성장을 이끄는 강력한 전략이기도 합니다. 안전 리더십이 강화된다면 조직은 지속 가능한 안전 문화를 구축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비즈니스 성과와 경쟁력까지 확보할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 조직에도 ASAP 모델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구성원 모두가 안전한 환경에서 업무에 집중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미래를 만들어 가시기 바랍니다.
[SAFER Coach 세인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현재 우리 조직의 리더들은 어떤 안전관리 활동을 하고 있나요?
우리 조직에서 안전 목표는 단지 형식적인 구호인가요, 아니면 실제로 평가에 반영되는 목표인가요?
우리 조직의 리더들이 안전 문제를 발견했을 때 주로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나요?
우리 조직은 안전 관련 데이터를 얼마나 자주, 그리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나요?
조직 구성원들이 안전 문제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눌 수 있는 환경이 잘 조성되어 있나요?
우리 조직에서 최근에 발생한 사고나 위험 상황은 사전에 충분히 예방할 수 있었던 것인가요?
우리 조직의 안전 문화는 개별 리더의 성향에 따라 변하나요, 아니면 체계적으로 유지되고 있나요?
안전과 관련한 직원들의 좋은 행동이나 성과를 우리 조직은 어떻게 인정하고 격려하고 있나요?
우리 조직은 안전 리더십과 기존의 성과 중심 리더십을 어떻게 구분하고 관리하고 있나요?
안전 리더십 모델 ASAP을 우리 조직에 도입한다면, 어떤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날 수 있을까요?
[참고문헌]
김동환, & 박철우. (2019). 제조업 현장에서의 안전문화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리더십의 역할을 중심으로. 산업경영연구, 42(3), 23-49.
박혜영, & 김상인. (2020). 조직의 안전문화와 리더십이 근로자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인간공학회지, 39(6), 537-547.
이준원. (2021). 안전 리더십이 근로자의 안전행동 및 안전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36(5), 45-53.
정석환, & 이민수. (2017). 건설현장의 안전 리더십 측정과 평가 방법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18(1), 12-21.
Conchie, S. M., Moon, S., & Duncan, M. (2013). Supervisors’ engagement in safety leadership: Factors that help and hinder. Safety Science, 51(1), 109-117.
Clarke, S. (2013). Safety leadership: A meta-analytic review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as antecedents of safety behaviour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6(1), 22-49.
Comentá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