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am40004
운영자
더보기
프로필
가입일: 2021년 10월 23일
게시물 (53)
2025년 10월 21일 ∙ 5 분
안전 목표, 사고만 줄이면 될까?
5분만 투자하면 의미 있는 안전 목표를 세우는 방법을 알 수 있어요! ✔ 재해율 지표를 중심으로 관리하는 안전 성과의 한계를 확인해 보세요. ✔ 안전 성과를 세 가지 축으로 구분하는 글로벌 트렌드에 관해 알아 보세요. ✔ 안전하게 일하는 방법을 터득하는 조직이 되기 위한 3단계를 알아보세요. “올해 사고 몇 건이었지?” “작년보다 줄었나?” “내년엔 더 줄일 수 있을까?” 안전 목표를 수립하는 회의라면 자주 들어볼 수 있는 질문들입니다. 언뜻 생각하면 당연한 질문 같지만, 사실 이보다 더 중요한 질문이 있습니다. 바로 사고를 “어떻게” 줄일 것인가에 관한 것입니다. 재해율은 줄었지만, 진짜로 안전해졌는가? 많은 기업이 TRIR(Total Recordable Incident Rate, 총 재해율)을 안전 성과의 대표 지표로 사용합니다. 이 지표는 경미한 사고가 줄었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고, 관리하기도 간편합니다. 그리고 안전 관리의 성과를 외부에 한눈에 보여주기에도 좋습니다....
10
0
2
2025년 10월 14일 ∙ 5 분
연구로 보는 안전문화의 진짜 효과
5분만 투자하면 안전 관찰을 의미 있게 하는 방법을 알 수 있어요! ✔ 안전문화가 강해지면 사고율이 낮아지는지, 연구결과로 확인해 보세요. ✔ 안전문화가 조직의 경쟁력과 ESG 성장에 기여하는 방식을 알아보세요 . ✔ 안전문화가 어떻게 구성원의 몰입과 생산성까지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해 보세요. “안전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일단 납기부터 맞춰야죠.” 현장에서 안전이 종종 ‘불필요한 절차’나 ‘일을 느리게 만드는 규정’으로 여겨지는 건 익숙한 현실입니다. 안전보다 성과가 우선시될 때, 잠시나마 작업 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한 가지는 분명해집니다. 안전을 형식으로 여기는 조직은 결국 더 많은 리스크를 안게 됩니다. 반대로 안전문화를 제대로 세운 조직은 장기적으로 더욱 높은 성과와 신뢰을 얻게 됩니다. 최근 국내외 여러 연구들은 안전문화가 실제로 조직의 성과, 직원의 몰입, 기업의 평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
4
0
1
2025년 10월 14일 ∙ 5 분
안전문화 진단, 하긴 했는데 이제 어쩌지?
5분만 투자하면 안전문화 이후에 무엇을 해야하는지 알 수 있어요! ✔ 안전문화 진단이 결과 보고로만 끝나면 안 되는 이유를 확인해 보세요. ✔ 안전문화 진단 이후의 프로세스를 4단계로 알아보세요. ✔ 진단 결과에 따라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예시를 확인해 보세요. 안전문화 진단은 많은 조직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진행되는 중요한 활동입니다. 구성원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여러 차례 공지가 나가고, 응답률을 높이기 위한 부서별 독려도 이어집니다. 결과가 나오면 임원 보고를 위해 정성 들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관련 회의도 열립니다. 하지만 그렇게 공들인 진단의 마무리는 종종 이렇게 끝납니다. “생각보다 안전문화 수준이 낮네?” “작년보다 올라갔군! 좋은 변화야.” 결과를 확인하고 나면 프로젝트는 종료되고, 그 이후의 실질적인 변화는 쉽게 찾아보기 어려운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안전문화 진단은 그저 ‘현 상태를 확인하는 일’로 그쳐서는 안 됩니다. 안전문화 진단을 하는 이유는...
5
0
1
bottom of pag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