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d Man's Test는 안전 관리에 있어 "죽은 사람도 할 수 있는 일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적극적이고 의미 있는 변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새로운 시각을 제안합니다. 바로 안전 활동의 본질을 재조명하며, 살아있는 우리가 할 수 있는 의미 있는 활동에 주목하도록 하는 것 입니다.
이 개념을 실제로 적용하면, 안전 관리가 단순히 사고를 방지하고 위험을 피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모든 구성원이 안전 문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안전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방향으로 확장됩니다.
즉, 안전 관리는 모든 구성원이 안전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하고, 개선 아이디어를 제안하며, 안전한 작업 방법을 개발하고 실천하는 과정이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장에서 시도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아래에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일상에서 시작하는 안전 대화
작업 시작 전, 짧은 안전 대화를 통해 그날의 주요 작업과 관련된 안전 사항을 공유하는 것은 어떨까요? 안전 의식을 상기시키고, 서로의 안전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입니다. 이 때 리더가 안전 대화를 촉진하고 구성원들의 참여를 격려함으로써, 안전에 대한 공동의 책임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Avery & Quinones, 2002).
안전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 공유
구성원들이 안전 개선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실행 가능한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기여한 구성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참여를 독려합니다. 안전 개선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공유하고, 이를 실행에 옮기는 것은 안전 문화를 강화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구성원들의 참여를 장려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과정에서 리더는 구성원들이 안전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제안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Zacharatos, Barling, & Iverson, 2005).
실천 중심의 안전 교육
실질적인 안전 교육은 이론보다 실천에 중점을 둡니다. 구성원들이 실제 상황에서 안전한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입니다. 실제 작업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모의하고, 직접 대처해보는 실습 중심의 안전 교육은 구성원들이 위험 상황에서 적절히 대응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이런 접근에서 안전 코칭을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코치는 구성원들이 안전에 대한 지식을 적용하고, 위험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Beus, Payne, Bergman, & Arthur, 2010).
안전 관찰을 통한 피드백 공유
서로의 작업을 관찰하고, 안전하지 않은 행동이나 조건에 대해 피드백 할 때는 상호 존중과 협력의 Mindset이 중요합니다. 리더는 이 과정에서 구성원들이 서로의 안전을 책임지고, 적극적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격려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환경은 안전한 작업 환경 조성에 필수적입니다(Conchie, 2013).
Dead Man's Test를 통해 안전 관리는 단순한 사고 방지를 넘어, 모든 구성원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지속적으로 안전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과정이 됩니다. 일상의 안전 대화부터 실질적인 안전 교육, 구성원들의 아이디어 공유 및 실행, 서로의 작업을 관찰하고 피드백을 나누면서 지켜야하는 마이너스 게임이 아니라 적극적인 노력으로 가치를 더해가는 플러스 게임으로 전환할 수 있을 것입니다.(문광수, & 이종현 2022)
[ SAFER Coach 세인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
1. "죽은 사람도 할 수 있는 일"이 아닌, 진정한 가치를 더하는 안전 활동에 대해 우리는 어떤 예를 들 수 있나요? 이러한 활동들이 현재 우리 조직에서 얼마나 실행되고 있습니까?
2. 구성원들이 안전에 대해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참여하도록 격려하는 데 있어, 가장 큰 도전은 무엇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창의적인 방법은 무엇일까요?
3. 우리 조직 내에서 안전 개선 아이디어나 제안이 얼마나 자유롭게 공유되고 있나요? 구성원들의 아이디어를 수렴하고 실행에 옮기기 위한 프로세스는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
4. 직원들이 실제 위험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실습 중심의 안전 교육은 충분히 제공되고 있나요?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요?
5. 안전 관찰 프로그램을 통해 서로의 작업을 관찰하고 피드백을 주는 문화는 우리 조직에서 얼마나 활성화되어 있나요? 이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까요?
6. 우리 조직에서 안전 사고가 발생했을 때, 그 사고를 분석하고 교훈을 얻어 정책과 절차를 개선하는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이 과정을 더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한 제안은 무엇일까요?
참고 문헌:
문광수, & 이종현. (2022). 안전이 묻고 심리학이 답하다. 서울: 좋은땅
Avery, D. R., & Quinones, M. A. (2002). Disentangling the effects of voice: The incremental roles of opportunity, behavior, and instrumentality in predicting procedural fair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1), 81-86.
Beus, J. M., Payne, S. C., Bergman, M. E., & Arthur Jr, W. (2010). Safety climate and injuries: An examination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relationship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5(4), 713-727.
Conchie, S. M. (2013).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trinsic motivation, and trust: A moderated-mediated model of workplace safet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8(2), 198-210.
Malott, R. W., & Suarez, E. B. (2003). Behavioral Systems Analysis and Higher Education. Behavior Analyst Today, 4(1), 7-15.
Zacharatos, A., Barling, J., & Iverson, R. D. (2005).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and occupational safe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0(1), 77-9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