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세이프티온솔루션 로고

"딴짓하는 교육생, 당신 잘못 아닙니다" – 안전 교육이 실패하는 진짜 이유!

5분만 투자하면 끝까지 집중하는 안전 교육을 만드는 방법을 알 수 있어요! 안전 교육에 집중하는 것이 어려울 수밖에 없는 이유를 확인해 보세요. 요즘 핫한 키워드, ‘주의력 격차’에 관해 알아보세요.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안전 교육에 필요한 요소들을 확인해 보세요.

교육, 분명 했는데 왜 바뀌지 않을까?


교육 시작과 동시에 고개를 숙이고 스마트폰을 보는 사람들,

“이건 맨날 듣던 얘기잖아”라는 표정으로 앉아 있는 구성원들,

그리고 수료는 했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반복되는 불안전 행동들.

혹시 여러분에게도 익숙한 장면인가요?


안전 교육은 단순히 법적 요건을 채우는 것을 넘어서, 교육은 사람들의 행동을 바꾸고, 서로의 안전을 지키는 문화를 만들어 가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우리가 마주하는 장면은 다릅니다. 겉으로는 교육을 듣고 있지만, 마음은 딴 데 가 있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정작 중요한 메시지는 스쳐 지나가고 맙니다.



문제는 ‘주의력’이다


사람들은 종종 “안전 교육이 지루한 건 내용이 뻔해서 그래”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진짜 문제는 다른 데 있습니다. 바로 ‘주의력을 잃는 것’, 즉 교육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이 진짜 문제입니다.


요즘 안전 교육 콘텐츠는 예전처럼 말로만 하는 강의가 아닙니다. 영상도 많고, 카드뉴스처럼 보기 쉽게 만든 자료도 많고, 상황을 직접 체험해 보는 시뮬레이션까지 점점 다양해지고 있죠. 겉으로 보면 흥미롭게 보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교육을 받는 사람들은 그만큼 집중하지 못하고, 배운 내용을 행동으로 옮기는 경우도 많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이 문제를 설명해 주는 개념이 바로 ‘주의력 격차(Attention Gap)’입니다. 이는 교육을 제대로 이해하고 행동으로 옮기기 위해 필요한 주의력의 수준과, 실제로 교육에 참여한 사람이 집중하고 있는 정도, 즉 실제 주의력 사이의 차이를 말합니다. 아무리 교육 내용이 알차고 잘 설계되어 있어도, 듣는 사람이 그만큼의 집중력을 발휘하지 못하면 그 교육은 제대로 전달되지 않습니다. 말하자면, 교육이 흘러 들어갈 수 있는 통로가 열려 있지 않은 상태인 것이죠.


도대체 왜 집중하지 않는 거지?


가끔 우리는 이렇게 말하곤 합니다.

“집중 좀 하지… 교육받는 데 왜 자꾸 딴짓을 하지?”

“의지만 있으면 집중할 수 있는 거 아닌가요?”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교육생들이 교육에 몰입하지 못하는 이유가 단순히 의지가 부족해서일까요?


그들을 나무라기 전에, 지금 우리가 처한 환경 자체가 얼마나 집중하기 어려운지 먼저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 요즘 사람들은 게으르거나 무책임해서가 아니라, 그만큼 주의를 뺏기는 자극이 많고, 몰입을 유지하기가 훨씬 어려운 환경 속에서 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우리의 집중력은 급격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글로리아 마크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2004년에는 한 가지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평균 2분 30초였던 반면, 2021년에는 단 47초로 감소했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집중해야 할 때도 스마트폰 확인을 참을 수 없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세대 차이로 설명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전 연령대, 모든 직무군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이며, 우리가 살아가는 현대의 학습 환경 그 자체에서 비롯된 변화입니다.



몰입을 끌어내는 다섯 가지 전략


1. 교육 초반에는 ‘왜 들어야 하는지’를 꼭 설명하기

사람은 자신과 직접 관련 있는 이야기일 때에야 비로소 귀를 기울입니다. 아무리 중요한 내용이라 해도 '이게 나랑 무슨 상관이지?'라는 생각이 들면 집중하기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교육 대상자의 입장에서, 이 교육이 내 일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이걸 몰라서 어떤 사고가 실제로 일어났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이건 나한테 중요한 이야기구나'라는 인식이 생기고, 그때부터 교육 내용이 진짜로 마음에 들어오기 시작합니다.


👉 Tip: 최근 실제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 사진이나 뉴스 기사를 활용해 시작해 보세요. 현실성과 긴장감을 높이고, 지금 이 교육이 필요한 이유를 자연스럽게 인식시켜 줄 수 있습니다.


2. 재미와 흥미 요소를 슬쩍 끼워 넣자

‘지루한 교육’이라는 인식은 교육의 몰입도를 크게 떨어뜨립니다. 안전 교육은 바로 그런 낙인이 찍히기 쉬운 교육이지만, 간단한 몇 가지 방법으로 안전 교육도 재미있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X 퀴즈나 팀별 상황 맞히기 게임을 진행해 보면 분위기가 확 달라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수동적으로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몸을 움직이고 머리를 써보게 되면 교육에 훨씬 더 몰입하게 됩니다. 또한 조를 나눠 점수를 매기거나, 미션 수행 여부에 따라 간단한 보상을 주는 방식도 가능합니다.


👉 Tip: 간단한 ‘상황 선택 퀴즈’를 진행해 보세요. 예를 들어“이런 상황에서 A와 B 중 어떤 선택이 더 안전할까요?”와 같은 퀴즈는 정답을 맞히는 것보다, 왜 그렇게 선택했는지를 짧게 이야기해 보게 하면서 참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3. 영상 기반, 15분 이내 콘텐츠를 활용하기

요즘 교육 콘텐츠 중에서 가장 몰입도가 높은 형식은 단연 영상입니다. 실제로 한 연구에 따르면 영상으로 전달된 메시지는 약 95%가 기억에 남는 반면, 텍스트는 약 10%만 기억된다고 합니다.

온라인 안전 교육 영상은 10~15분 정도로 짧고 명확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영상이 길어질수록 집중력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또 가능하다면 강사가 실제로 등장하되, 무조건 전면에 나오는 방식보다, 내용에 맞춰 적절히 등장하는 구성이 좋습니다. 교육생은 화면 속 사람에게서 감정과 진심을 읽지만, 단조로운 연출은 오히려 몰입을 방해할 수 있는 까닭입니다. 강사의 등장은 자연스럽게 콘텐츠와 어우러져야 하며, 메시지의 전달력을 높이는 방향이어야 합니다.


👉 Tip: 시작 10초 안에 핵심 메시지를 전달하세요. 시청자의 관심은 영상 초반 몇 초 안에 결정됩니다. “오늘 교육에서는 전도 사고를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처럼, 오늘 다룰 핵심을 빠르게 전달해 주세요.


4. 혼자가 아니라 ‘같이 듣는 구조’를 만들기

교육의 몰입도는 ‘관계’에서 비롯되기도 합니다.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연구에 따르면, 혼자 학습하는 경우 수료율은 평균 30~40%, 하지만 짝 학습이나 코호트(소규모 그룹) 학습의 경우 85% 이상으로 높아집니다.

안전 교육도 마찬가지입니다. 온라인 콘텐츠라도 팀별로 ‘같이 듣는 시간’을 정하고, 짧은 퀴즈나 실천 계획 공유를 추가하면 몰입도가 확연히 달라집니다. 또한, 짝 토론이나 미션 방식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5분간 옆 사람과 오늘 내용 중 가장 공감된 부분을 이야기해 보세요"와 같은 간단한 활동은 교육 참여도를 높이고 기억에도 오래 남습니다.


👉 Tip: 교육이 끝난 후 실천 과제를 팀 단위로 정리하고, 리더가 짧은 피드백을 주면 교육의 효과가 실제 현장으로 확산됩니다.



5. 교육의 끝은 실천 계획으로 마무리하자

많은 교육이 ‘내용 전달’로 끝나지만, 진짜 효과는 행동으로 이어질 때 나옵니다. 그래서 교육의 마지막에는 반드시 실천 계획을 수립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교육 종료 직후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보세요.

  • “오늘 배운 내용 중, 내가 현장에서 바꿔야 할 습관은 무엇일까?”

  • “우리 팀이 일주일 안에 실천할 수 있는 한 가지는 무엇일까?”

  • “이 실천 내용을 누구와 공유할 수 있을까?”


👉 Tip: 팀 단위 실천 계획을 A4 한 장으로 정리해서 게시하거나, 공유 게시판에 업로드하면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며 실행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재미있고 의미 있는 안전 교육 만들기


안전 교육을 진행하다 보면, 집중하지 못하거나 흥미 없어 보이는 교육생들을 자주 마주하게 됩니다. 그럴 때 우리는 종종 “왜 이렇게 태도가 안 좋지?”, “교육을 진지하게 안 듣네”라고 그들의 의지를 탓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요즘처럼 빠르게 변화하고 자극이 많은 환경에서는 누구나 한 가지에 오래 집중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특히 반복적이고 익숙한 내용일수록 관심을 유지하기 더 어렵습니다.


세이프티온솔루션은 다양한 연구와 현장 검증을 통해 교육생이 몰입할 수 있는 콘텐츠들을 개발하고,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전문성을 강사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교육을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 무엇이 중요하게 느껴질지 고민하고, 그 관점에서 교육을 새롭게 설계해야 진짜 효과가 나기 때문입니다. 학습자가 교육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는 이유를 이해하는 것, 그게 바로 안전 교육을 고민하는 사람들이 가져야 할 가장 중요한 태도입니다.





[SAFER Coach 세인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 지금 우리 교육은 학습자의 입장에서 얼마나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인가요?

  • 교육을 듣는 사람들이 왜 집중하지 못하는지 고민해 본 적 있으신가요?

  • 학습자 입장에서 ‘이건 내 이야기다’라고 느낄 수 있는 요소가 들어 있나요?

  • 반복되는 교육 내용을 조금 더 신선하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교육을 들은 뒤 구성원들이 실제로 어떤 행동을 바꾸고 있나요?

  • 참가자들이 공감하는 안전 교육의 목적이 법정 이수에 국한되어 있지는 않나요? 참가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하려면, 안전 교육의 목적을 어떻게 전달해야 할까요?

  • 지금의 교육 방식이 다양한 세대와 직무에 모두 적절하게 맞춰져 있나요?

  • 교육생이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된 부분이 있나요?

  • 학습자의 주의력과 몰입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가 충분한가요?




[참고문헌]

  • 김뢰호, 권용수, & 김혜영. (2014). 재난안전관리분야 교육훈련의 효과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13(3), 385-401.

  • 남궁정. (2017). 성인안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성인계속교육연구8(3), 75-101.

  • Bęś, P., & Strzałkowski, P. (2024).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safety training methods. Sustainability16(7), 2732.

  • Casey, T., Turner, N., Hu, X., & Bancroft, K. (2021). Making safety training stickier: A richer model of safety training engagement and transfer. Journal of safety research78, 303-313.

  • Gottlieb, J. (2012). Attention, learning, and the value of information. Neuron76(2), 281-295.

  • Murphy, M. (2008). Matching workplace training to adult attention span to improve learner reaction, learning score and retention. Journal of Instruction Delivery Systems22(2), 6-13. Ricci, F., & Bravo, G. (2022). Live-action role playing for safety training: Effectiveness evaluation in two Italian companies. New solutions: a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policy32(2), 144-154.

  • Robson, L. S., Stephenson, C. M., Schulte, P. A., Amick III, B. C., Irvin, E. L., Eggerth, D. E., ... & Grubb, P. L. (2012).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training.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193-208.

 
 
 

Comentários


  • Instagram
  • 블로그1
  • LinkedIn

TEL 031-781-8801

FAX 0503-8379-4021

본사 15811 | 경기도 군포시 군포로 713-1, 1005호(금정동, 진원타워)
안양 14118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116번길 25-32, 607호 (호계동, 안양 SK V1 center)

ⓒ SafetyON Solution Co., Ltd. 2024

©2021 (주)세이프티온솔루션  대표자 : 이종현  사업자등록번호 : 199-81-02200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