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세이프티온솔루션 로고

“말해봤자 안 바뀌니까요” – 침묵하는 현장을 바꾸는 방법

5분만 투자하면 현장의 침묵을 깨는 방법을 알 수 있어요! 말하지 않는 조직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심리적 안전감과 피드백 루프의 실천 전략을 알아보세요. 구성원의 목소리가 살아나는 안전문화를 살펴보세요.


"저건 규정대로 하면 오히려 위험해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규정이라 다들 그냥 눈치껏 해요."


"건의해봤자 달라지는 게 없어요."



안전을 위해 존재하는 규정이 오히려 현장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상황과 맞지 않아 형식적인 문서로만 남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더 이상 안전 규정이 비현실적이라는 사실조차 말하지 않게 된다는 데 있습니다.


안전 의견을 제출할 수 있는 창구는 있지만 사용되지 않고, 때로는 사용하더라도 아무런 반응이 없기에 구성원은 '침묵'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그 침묵 속에서 안전은 무너지기 시작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구성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더 안전한 근무 환경을 함께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ree

Q. 우리 구성원들은 심리적으로 안전하다고 느끼고 있을까?


하버드대 교수 에이미 에드먼슨(Amy Edmondson)은 심리적 안전감을 이렇게 정의했습니다.

“한 팀 내에서 처벌이나 무시의 두려움 없이 솔직하게 의견을 말할 수 있다고 믿는 상태”

즉, 내가 문제를 제기해도 비난받지 않을 것이고, 내 말이 존중될 것이라는 믿음이 조직 내에 있을 때, 사람들은 목소리를 냅니다.


우리 조직에서는 안전에 관한 목소리를 내는 것을 어렵게 생각하고 있지는 않나요? 구성원들이 현장의 위험 요소나 안전 규정에 대해 의견을 내지 않는 것은 ‘몰라서’ 또는 ‘의견이 없어서’가 아니라 ‘말하는 것이 두려워서’인 경우가 많습니다.


‘말하고 나면 내 일만 늘어나니까’

‘괜한 말을 했다가 일을 키웠다고 한 소리 들을테니까’

‘유난스럽다는 이야기를 듣게 될까봐’


Tip. 말해도 되는 분위기, 심리적 안전감을 만드는 방법


  • 리더가 먼저 실수를 공유하세요.

    관리자나 리더가 “나도 이 절차가 처음엔 이해되지 않았다”는 식으로 경험을 솔직히 나누면, 구성원도 마음을 열게 됩니다.


  • 피드백에 대한 감사 표현을 습관화하세요.

    의견의 옳고 그름을 따지기보다, 그 용기와 참여 자체를 인정하는 문화가 중요합니다.

    예) “좋은 제안 감사합니다. 덕분에 저희도 다시 생각해보게 됐습니다.”


  • 비공식 경로로 듣는 이야기도 적극적으로 경청하세요.

    형식적인 보고서보다, 반장이나 팀장에게 구두로 전해지는 말이 더 많습니다. 관리자 교육을 통해 이러한 비공식 채널을 존중하고, 경청의 자세를 갖추게 하세요.


ree

Q. 우리 조직은 의견을 들은 뒤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을까?


구성원이 용기를 내어 의견을 내는 순간, 우리는 중요한 기회를 얻게 됩니다. 그러나 그 의견이 실제로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지는 구성원 입장에서 잘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의견을 단순히 받는 것에서 멈추지 않고, 그 이후에 어떤 반응과 조치가 이어지는지가 조직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합니다.


많은 조직이 ‘의견 제안함’이나 ‘피드백 회의’를 운영하지만, 구성원들은 여전히 “말해봤자 바뀌지 않는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단순히 경로의 유무가 아니라, 조직이 의견에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생기는 차이입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입니다. 피드백 루프란 의견이 수집된 뒤, 조직이 이를 검토하고 조치하며, 그 결과를 구성원에게 다시 공유하는 순환 구조를 의미합니다. 이 루프가 제대로 작동할 때, 구성원은 자신의 의견이 조직의 변화를 이끌어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으며, 이는 곧 참여 의욕과 책임감으로 이어집니다. 작은 제안 하나라도 그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순간, 구성원은 “말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믿음을 갖게 됩니다.


Tip. 피드백 루프를 구축하는 방법


  • 의견 접수 사실을 즉시 알리세요.

    구성원이 건의했을 때 “잘 받았습니다. 확인 후 알려드리겠습니다”라는 짧은 응답만으로도 ‘무시당하지 않았다’는 신뢰가 생깁니다.


  • 결과를 빠짐없이 피드백하세요.

    제안이 채택되지 않더라도, “이런 이유로 당장은 어렵지만 보완책을 검토 중입니다”처럼 맥락을 설명하면 참여 동기를 잃지 않게 됩니다.


  • 제안자가 조직의 개선에 기여했음을 보여주세요.

    규정이 바뀌거나 절차가 개선되었을 때, “현장의 A 직원 제안 반영” 같은 문구만으로도 강한 동기 부여가 됩니다.


구성원의 제안으로 안전 규정이 발전하는 조직의 이야기


한 사람의 제안이 규정을 움직이고, 그 경험이 또 다른 목소리를 이끌어냅니다. 누군가의 의견이 존중받고 실제로 반영되는 순간, 조직은 더 안전하고 더 살아 있는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지금 여러분의 현장에서도, 그런 변화가 시작될 수 있습니다.


새로운 고소작업대가 도입된 지 일주일째 되는 날, 태수 씨는 장비 배치 문제로 인해 안전거리 확보가 어렵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곧바로 현장에 안내된 ‘안전 제안’ QR 코드를 스캔해 간단한 의견을 등록했습니다. “작업대 위치 조정이 어려워 기존 절차대로 작업하기가 어렵습니다.” 의견을 제출한 지 몇 시간 후, 문자를 통해 접수 확인 알림이 도착했습니다. “의견 잘 접수되었습니다. 본사 안전팀 담당자가 검토 중입니다.” 다음 날, 현장 관리자였던 박반장이 태수 씨를 찾아와 관련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했고, 임시 작업지침을 함께 만들었습니다. 이후 본사에 이 내용을 전달한 결과, 2주 후에 새로운 작업 절차가 정식 공지되었습니다. 공지문에는 “OO현장 김태수 작업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절차가 개정되었습니다”라는 문구가 포함되어 있었고, 현장 게시판에는 ‘현장 제안 반영 사례’로 그의 이름이 올라갔습니다. 태수 씨는 자신이 올린 제안이 실제로 조직을 바꾸었다는 경험을 통해 뿌듯함을 느꼈습니다.

실제로 국내 한 기업에서는 카카오톡 채널을 활용해 위험 요인을 제보하고, 안전팀에 건의사항을 보낼 수 있는 창구를 마련했습니다. 카카오톡은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앱이라는 점에서 접근성이 높았기 때문에 구성원들은 이전보다 손쉽게 의견을 제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담당자는 새롭게 작성된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한 뒤에 메시지를 남기고, 조치가 완료된 이후에도 해당 사항을 작성자에게 공유했습니다.


이렇듯 현장의 침묵을 깨는 일은 카카오톡 채널 하나로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부담없이 의견을 낼 수 있고, 내 의견을 통해 현장이 바뀌고 있다는 것이 체감되는 조직을 만드는 일. 지금부터 시작해 보세요!


활발한 구성원 안전 참여, 세이프티온솔루션이 도와드릴게요!




[SAFER Coach 세인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 우리 조직에서는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낼 수 있는 분위기인가요?

  • 누군가 안전 규정이 현실과 맞지 않는다고 말했을 때, 그 의견은 어떻게 다뤄졌나요?

  • 최근에 구성원이 낸 제안이 실제로 반영된 사례가 있었나요?

  • 우리 조직은 피드백을 받은 후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나요?

  • 우리 조직에서 의견을 낸 구성원이 이후에 어떤 대우를 받았는지 기억나는 에피소드가 있나요?

  • 우리 조직에서는 피드백 루프가 잘 작동하고 있다고 느끼시나요?

  • 침묵 대신 참여가 자연스러운 안전문화로 이어지기 위해 지금 무엇부터 바꿔야 할까요?




[참고문헌]

  • 김경환, 김남규, & 김경석. (2023). 포용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LMX,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 과학기술분야 공공 연구개발조직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36(7), 1119-1149.

  • 김미경, & 문재승. (2019). 포용적 리더십이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전감과 피드백추구행동의 매개효과와 권력거리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개발연구, 22(4), 181-205.

  • 김정식. (2022). 참여적 리더십과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전감, 조직몰입 및 혁신적 행동 간의 관계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2(11), 636-646.

  • 김지훈. (2019). 안전문화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안전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12), 151-163.

  • 최영서, 조봉순, & 이은영. (2020). 임파워링 리더십이 촉진적 발언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와 동료침묵의 조절된 매개효과. 경영학연구, 49(6), 1549-1573.

  • Edmondson, A. C. (1999). Psychological safety and learning behavior in work tea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4(2), 350-383.

  • Frazier, M. L., Fainshmidt, S., Klinger, R. L., Pezeshkan, A., & Vracheva, V. (2017). Psychological safety: A meta‐analytic review and extension. Personnel Psychology, 70(1), 113-165.

  • Guldenmund, F. W. (2000). The nature of safety culture: A review of theory and research. Safety Science, 34(1-3), 215-257.

  • London, M., & Smither, J. W. (2002). Feedback orientation, feedback culture, and the longitudinal performance management proces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1), 81-100.

  • Morrison, E. W., & Milliken, F. J. (2000). Organizational silence: A barrier to change and development in a pluralistic world.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4), 706-725.

 
 
 

Comentários


  • Instagram
  • 블로그1
  • LinkedIn

TEL 031-781-8801

FAX 0503-8379-4021

본사 15811 | 경기도 군포시 군포로 713-1, 1005호(금정동, 진원타워)
안양 14118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116번길 25-32, 607호 (호계동, 안양 SK V1 center)

ⓒ SafetyON Solution Co., Ltd. 2024

©2021 (주)세이프티온솔루션  대표자 : 이종현  사업자등록번호 : 199-81-02200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