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세이프티온솔루션 로고

안전 엘리트가 되는 법, Mindful Organizing(집단적 대응체제)

5분만 투자하면 안전 엘리트가 되는 방법을 알 수 있어요! 고위험 조직 중에서도 안전 성과가 높은 조직의 특징을 확인해 보세요. 구성원 전체가 함께 예방하고 대응하는 체제는 어떤 모습인지 알아보세요. 안전문화로 직업 만족도를 높이고 이직률까지 낮출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해 보세요.



"이제 곧 어느 작업장에서 어떤 사고가 날 테니 조심하여라!"


이런 계시를 받아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현실에서는 아무리 뛰어난 안전 관리자라도 정확히 언제, 어디서 사고가 발생할지 정확하게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늘 긴장하고 철저히 준비하지만, 여전히 예상치 못한 사고는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안전을 제대로 관리한다는 것은 이렇게 '예상치 못한 상황'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비하고 대처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안전 관리가 어려운 이유가 바로 이 때문입니다.


안전 엘리트, HRO


이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놀라운 안전 성과를 보여주는 조직들이 있습니다. 안전에 있어서는 ‘엘리트’와 같은 조직들이죠. 이들을 우리는 '고신뢰 조직(HRO, High Reliability Organization)'이라고 부릅니다.


고신뢰 조직(HRO)이란 사고가 한 번이라도 발생하면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는 환경에서도 꾸준히 높은 안전 성과를 내고 있는 조직을 의미합니다. 원자력 발전소나 항공관제 센터, 병원과 같은 곳들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이들은 사고 예방뿐 아니라,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조직입니다. 즉, 위험이 큰 상황에서도 언제나 믿고 신뢰할 수 있는 운영 성과를 유지하는 조직들이죠.


그렇다면 이 조직들의 비결은 무엇일까요?

바로 'Mindful Organizing(집단적 대응체제)'입니다.


집단적 대응체제이란 간단히 말해 조직 구성원 모두가 함께 사고를 미리 예방하고, 혹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된 시스템을 뜻합니다. 누구 한 사람의 노력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조직 전체가 힘을 합쳐 준비하고 움직이는 것입니다.


Mindful Organizing(집단적 대응체제)의 다섯 가지 특징


집단적 대응체제의 특징은 두 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사고를 철저하게 예방하는 것이고, 둘째는 이미 일어난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해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현실적으로 사고를 완전히 없애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사고가 났을 때 얼마나 잘 대응하느냐도 매우 중요합니다.



1. 철저한 사고 예방


실패에 대한 집착 (Preoccupation with Failure)

작은 실수나 이상 현상을 결코 무시하지 않고, 큰 문제의 신호로 여깁니다. 예를 들어 한 공장에서 두 달에 한 번 청소해야 하는 기계를 2주마다 청소한다면, 단순히 설비를 열심히 관리하는 것으로 보지 않고 "왜 2주마다 청소가 필요한지"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를 의심합니다. 정상적인 속도보다 더 빨리 더러워지는 이유를 찾고, 해결해서 사고가 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지나친 단순화 지양 (Reluctance to Simplify)

복잡한 상황을 지나치게 단순화하지 않고 세부 사항과 다양한 관점을 철저히 살핍니다. 예를 들어 위험성 평가 시 단순히 '저위험, 중위험, 고위험'으로만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의 모든 측면을 면밀히 검토하고 구성원의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여 정확한 평가를 내립니다. 숫자나 분류만으로 안심하지 않고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숨겨진 위험 요소를 찾아냅니다.


현장에 민감한 운영 (Sensitivity to Operations)

현장의 목소리를 중요시하고 투명한 소통을 통해 문제를 예방합니다. 예를 들어 병원 응급실의 경우, 환자 상태의 변화나 의료 장비의 작은 이상도 즉각적으로 소통하고 공유합니다. 의사와 간호사, 관리 직원이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환자의 상태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춥니다. 이런 신속하고 정확한 소통 체제가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핵심 요소입니다.


2. 사고 대응


회복력에 대한 투자 (Commitment to Resilience)

사고나 문제가 생겼을 때 신속하게 정상 상태로 복구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예를 들어 유통업체는 재고 문제나 직원 결근 등의 갑작스러운 문제에 대비하여 추가 인력을 준비하거나 여분의 재고를 미리 확보합니다. 조직 또한 예상 밖의 문제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훈련과 시스템을 미리 갖추고, 정기적인 시나리오 훈련을 통해 회복력을 키웁니다. 유통업체가 고신뢰 조직인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점에 있어서 회복력에 대한 투자는 뛰어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전문성 존중 (Deference to Expertise)

직급과 상관없이 가장 전문성을 가진 사람이 상황을 통제하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합니다. 예를 들어 병원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가장 숙련된 간호사나 의료진이 직급에 상관없이 즉각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합니다. 이처럼 전문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문화가 사고 대응 능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사고 예방, 그 이상


집단적 대응체제의 원칙을 실천하면 사고율이 줄어들 것이라는 점은 너무나 당연합니다. 구성원들이 사고 위험을 조기에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집단적 대응체제는 사고를 예방하는 것 외에도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들을 가져옵니다.


첫째, 구성원 개개인의 자기효능감과 자신감이 높아집니다. 자신이 하는 일의 안전성과 중요성을 명확히 인지하게 되면서 업무에 더욱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됩니다.


둘째, 직업 만족도가 크게 향상되고 이직률이 감소합니다. 조직이 구성원의 안전을 진정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알게 되면 구성원들은 조직에 대한 신뢰와 충성도가 높아집니다.


셋째, 조직 내에서 신뢰와 협력이 크게 증대됩니다. 집단적 대응체제는 모든 구성원 간에 투명하고 신속한 소통을 장려하며, 구성원들이 서로의 전문성을 존중하게 합니다.


안전문화? 집단적 대응체제?


그동안 우리는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문화를 강화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자주 들어왔습니다. 그렇다면 집단적 대응체제는 안전문화와 별개로 존재하는 또 다른 새로운 숙제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집단적 대응체제는 안전문화의 실질적인 실행력을 높이는 구체적인 방법이자 중요한 원칙입니다. 안전문화가 조직 구성원들이 안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감하는 가치라면, 집단적 대응체제는 이를 실천에 옮기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 원칙과 시스템입니다.


세이프티온솔루션은 진단/검사, 코칭, 교육, 컨설팅을 통해 집단적 대응체제을 촉진하고, 이를 조직의 안전문화와 효과적으로 연결시켜 지속 가능한 안전 성과를 이루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SAFER 코칭 모델은 구성원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현장에 맞는 안전 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안전문화/성향 진단 솔루션 X-Insight는 데이터를 활용해 조직 내 안전문화를 심층적으로 평가하고, 숨겨진 위험 신호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여러분의 조직은 예상 밖의 상황에 얼마나 준비되어 있나요?


집단적 대응체제을 실천하기 위한 여정이 막막하게 느껴진다면 세이프티온솔루션과 함께해보면 어떨까요?





[SAFER Coach 세인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 우리 조직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 얼마나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나요?

  • 구성원들은 작은 위험이나 이상 징후를 발견했을 때 자유롭게 말할 수 있다고 느끼나요?

  •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현장에서 구성원들 간의 소통은 충분히 원활한가요?

  • 사고가 발생했을 때, 가장 전문성을 가진 사람이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분위기인가요?

  • 우리 조직에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은 실제로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나요?

  • 지금 우리 조직이 가진 안전문화는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모습인가요?

  • 우리 조직에서 구성원들은 안전을 '업무의 필수'로 인식하나요, 아니면 '추가적인 업무'로 여기나요?

  • 집단적 대응체제을 도입한다면 어떤 변화가 우리 조직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까요?

  • 우리 조직의 안전문화가 더욱 강력해지기 위해, 지금 우리가 개선해야 할 첫 번째 과제는 무엇일까요?



[참고문헌]

  • 노갑진. (2018). 철도안전관리 시스템과 안전 5 중 방호벽 기반의 안전 고신뢰 조직 (HRO). 한국품질경영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2018, 69-69.

  • 유규창, & 김용근. (2022). Smart Safety System 을 활용한 고신뢰조직 (HRO) 구축방안 연구: 기업시민 포스코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29(6), 207-225.

  • 한익현, & 박진서. (2022). 고신뢰조직 (HRO) 을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 항공안전 정책체제의 변화와 시사점. 한국항공경영학회지20(4), 65-85.

  • Buranapin, S., Limphaibool, W., Jariangprasert, N., & Chaiprasit, K. (2023). Enhancing organizational resilience through mindful organizing. Sustainability15(3), 2681.

  • Curcuruto, M., Renecle, M., Gracia, F., Morgan, J. I., & Tomas, I. (2024). Improving workplace safety through mindful organizing: Participative safety self-efficacy as a mediational link between collective mindfulness and employees’ safety citizenship. Journal of risk research27(1), 85-107.

  • Martínez-Córcoles, M., & Vogus, T. J. (2020). Mindful organizing for safety. Safety science124(1), 1-5.

  • Omidi, L., Bahrami, M., Dolatabad, K. M., Zakerian, S. A., & Azam, K. (2024). Mindful organizing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group safety climate and safety-related behaviors among operating room team members. Perioperative Care and Operating Room Management34, 100351.

  • Renecle, M., Gracia, F. J., Tomas, I., & Peiró, J. M. (2020). Developing mindful organizing in teams: A participation climate is not enough, teams need to feel safe to challenge their leaders. Revista de Psicología del Trabajo y de las Organizaciones36(3), 181-193.

  • Saleem, M. S., Isha, A. S. N., Mohd Yusop, Y., Awan, M. I., & Naji, G. M. A. (2021). Agility and safety performance among nurses: the mediating role of mindful organizing. Nursing Reports11(3), 666-679.

  • Vogus, T. J., & Sutcliffe, K. M. (2012). Organizational mindfulness and mindful organizing: A reconciliation and path forward.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11(4), 722-735.

  • Vogus, T. J. (2011). Mindful organizing: Establishing and extending the foundations of highly reliable performance.

 
 
 

コメント


  • Instagram
  • 블로그1
  • LinkedIn

TEL 031-781-8801

FAX 0503-8379-4021

본사 15811 | 경기도 군포시 군포로 713-1, 1005호(금정동, 진원타워)
안양 14118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116번길 25-32, 607호 (호계동, 안양 SK V1 center)

ⓒ SafetyON Solution Co., Ltd. 2024

©2021 (주)세이프티온솔루션  대표자 : 이종현  사업자등록번호 : 199-81-02200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