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세이프티온솔루션 로고

『7 Insights into Safety Leadership』: 진정한 안전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작성자 사진: sam400049sam400049

최종 수정일: 2월 12일


안전은 단순히 규정을 지키는 문제가 아닙니다.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직결된 생존의 문제입니다. 하지만 많은 조직이 안전을 ‘필수적이지만 부차적인 요소’로 여기고, 사고가 발생해야만 개선의 필요성을 깨닫곤 합니다. 그러나 진정한 안전 리더십은 사고가 난 후 대처하는 것이 아니라, 사고를 예방하는 데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이클 토프(Michael Tope)의 『7 Insights into Safety Leadership』은 기업 경영자와 리더들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전합니다. 이 책의 핵심은 단순합니다.

중대재해와 사망사고(SIF, Serious Injury and Fatality)를 예방하려면 기존 방식만으로는 부족하다. - 『7 Insights into Safety Leadership』 중에서 -

리더가 직접 움직이고, 조직 문화를 바꾸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해야 합니다. 단순히 "안전은 비용이 아니라 투자다"라는 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왜 그렇게 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출간 이후, 이 책은 글로벌 안전 전문가들 사이에서 필독서로 자리 잡았습니다. 진정한 안전 리더십이 무엇이며, 그것이 조직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해 명쾌하게 풀어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산업재해 예방과 조직문화 혁신을 고민하는 경영진과 안전 관리 책임자들에게 강력히 추천할 만한 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7 Insights into Safety Leadership』에서 제시하는 주요 통찰과 기업이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 안전은 비용이 아니라 생존이다

많은 기업이 여전히 안전을 ‘돈이 드는 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안전이 확보되지 않으면 생산성이 떨어지고, 직원들이 회사를 떠나며, 법적 리스크까지 커집니다. 『7 Insights into Safety Leadership』에서는 안전이 곧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라고 강조합니다. 실제로 한 번의 중대재해나 사망 사고가 기업을 무너뜨릴 수도 있습니다.


2. 리더십이 안전을 만든다

안전은 현장 직원들만의 책임이 아닙니다. 리더가 어떻게 행동하느냐에 따라 조직의 안전 수준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리더가 변하지 않으면 조직도 변하지 않습니다. 안전한 기업을 만들려면, 리더부터 바뀌어야 합니다.


현장을 안전하게 만드는 리더의 행동

  • 책상에서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현장에서 문제를 파악합니다.

  • 사고가 발생한 후 해결책을 찾는 것이 아니라, 사전에 위험을 감지하고 차단합니다.

  • 위험을 보고하는 것이 불이익이 아니라 당연한 일이 되도록 조직 문화를 조성합니다.

조직이 개선을 추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리더십은 변화의 출발점이며, 가장 집중해야 할 부분입니다. 이를 강화하면 안전성과 관련된 모든 요소가 긍정적으로 활성화될 것입니다. - 『7 Insights into Safety Leadership』 중에서 -

3. 데이터 없이 안전을 논하지 말라

여전히 많은 리더들이 경험과 직관에 의존해 안전을 관리합니다. 그러나 사고는 감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활용하지 않고 감으로 관리하는 안전은 결국 ‘운에 맡기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4. 중대재해(SIF)에 집중하라

리더들은 우선적으로 중대재해(SIF)에 집중해야 합니다. 작은 사고들을 철저히 관리하면 큰 사고도 예방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 데이터는 그렇지 않다고 말합니다.

북미 지역의 여러 기관과 산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비치명적인 부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사망 사고는 거의 줄지 않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는 기존의 안전 시스템이 중대재해와 사망 사고를 막는 데 한계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 『7 Insights into Safety Leadership』 중에서 -

단순한 사고 감소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가장 심각한 사고를 줄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5. 사고 후 대응이 아니라, 사고 예방이 핵심이다

사고가 발생하면 다들 분주하게 움직입니다.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세우며, 재발 방지 조치를 합니다. 하지만 진짜 중요한 것은 사고 후 대응이 아니라, 사고 자체를 원천 차단하는 것입니다.


예방 중심의 안전 관리 접근법

  • 위험성 평가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 작은 사고도 철저히 분석해 반복되지 않도록 합니다.

  • 리더가 안전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점검합니다.


6. 안전은 리더 한 사람이 아니라, 조직 전체의 일이다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결국 안전은 조직 전체가 함께 만들어가는 문화입니다. 안전 담당자만 신경 쓰는 것이 아니라, 모든 구성원이 안전 리더가 되어야 합니다.


조직 전체가 안전 리더가 되려면

  • 위험을 발견하면 즉시 보고하는 문화를 정착해야 합니다.

  • 위험한 행동에 대해 상호 피드백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 안전을 개인의 책임이 아니라, 조직의 가치로 인식하도록 교육해야 합니다.


저자의 메시지


『7 Insights into Safety Leadership』은 안전 리더십에 대한 관점을 바꿔놓습니다. 우리는 지금 무엇에 집중하고 있으며, 무엇을 근거로 안전에 대한 의사결정을 하고 있을까요?


이 책을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이 경쟁력이자 성과가 되게 만드는 리더십이란 무엇인지에 관해 고민해 보세요.






[SAFER Coach 세인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 우리 조직의 안전 관리 방식은 효과적인가요? 개선이 필요하다면 어떤 점이 가장 시급한가요?

  • 안전이 조직에서 최우선 가치로 자리 잡고 있나요? 그렇지 않다면 무엇이 부족한가요?

  • 우리 조직은 안전 관리에 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하고 있나요? 부족하다면 어떤 점을 개선해야 하나요?

  • 중대재해(SIF)를 줄이기 위해 가장 먼저 바꿔야 할 것은 무엇인가요?

  •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행동은 무엇인가요?

  • 위험을 자유롭게 보고하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나요? 아니라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 리더들은 조직의 안전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나요? 개선할 부분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 사고가 발생한 후 조직의 대응 방식은 적절한가요? 예방을 강화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요?

  • 모든 구성원이 안전 리더가 되려면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요?

  • 『7 Insights into Safety Leadership』에서 가장 인상적인 내용은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 리더가 안전을 중심에 둔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떤 리더십 함양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나요?

  • 우리 조직의 안전리더십은 중대재해 예방에 집중하여 실행되고 있나요?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Instagram
  • 블로그1
  • LinkedIn

TEL 031-781-8801

FAX 0503-8379-4021

본사 15811 | 경기도 군포시 군포로 713-1, 1005호(금정동, 진원타워)
안양 14118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엘에스로116번길 25-32, 607호 (호계동, 안양 SK V1 center)

ⓒ SafetyON Solution Co., Ltd. 2024

©2021 (주)세이프티온솔루션  대표자 : 이종현  사업자등록번호 : 199-81-02200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