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sam400049

안전문화 강화를 위한 골든 타임, 신규 입사자 교육

5분만 투자하면 신규 입사자 교육으로 안전문화를 강화하는 방법을 알 수 있어요! 신규 입사자 교육이 안전문화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 확인해 보세요. 신입 근로자와 경력 근로자의 특징과 교육 시 고려 사항을 알아보세요. 신입과 경력 근로자를 위한 맞춤형 교육 방법을 알아보세요.

산업안전보건법은 신규 채용 시 근로자들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일할 수 있도록 반드시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근로 기간에 따라 최소 1시간~8시간의 교육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의 주요 내용은 작업장 내 위험 요소 파악, 안전 수칙 준수, 그리고 보호구 착용 등입니다.


하지만 최근에 발생한 화성 아리셀 참사와 같은 사고는 이러한 법적 요건이 형식적으로만 준수되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인 교육의 효과를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를 드러냈습니다.


신규 채용 시의 안전보건교육은 단순한 규정 준수가 아니라,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입사 초기의 교육은 근로자가 조직의 안전문화를 이해하고, 올바른 안전 습관을 형성하는 첫 단계이기 때문입니다.


신규 입사자를 위한 교육의 질과 내용이 부실하다면, 이는 조직 전체의 안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배경에서 신입 근로자와 경력 근로자에게 왜 맞춤형 안전교육이 필요한지, 그리고 이를 통해 조직의 안전문화를 어떻게 강화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안전문화로 첫걸음을 내딛는 신입 근로자


신입 근로자는 처음 직장에 들어와 새로운 환경과 작업 방식에 적응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이 시기의 안전교육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서, 안전의 중요성을 내재화하고 행동으로 이어지게 하는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입사 초기의 교육을 통해 신입 근로자는 조직이 안전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직접 체감하게 됩니다. 안전교육이 철저하게 이루어진다면, 이들은 자연스럽게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태도를 갖추게 되죠. 이러한 태도는 입사 초기뿐만 아니라 이후의 업무 기간 동안에도 꾸준히 유지됩니다.


반대로, 처음에 올바른 안전 수칙과 행동 방식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면 비효율적이고 위험한 작업 습관이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처럼 형성된 잘못된 습관은 시간이 지날수록 고치기 어려워지고, 이는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답니다. 신입 근로자는 처음부터 안전한 작업 방식을 배우고, 이를 몸에 익혀야 합니다.


안전문화를 이끌어갈 선배, 경력 근로자


경력 근로자는 다른 조직에서 이미 작업 경험과 안전 지식을 쌓아왔기 때문에 신입 근로자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경력 근로자에게 더욱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이들이 신입 근로자들에게 큰 영향력을 끼치는 리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만약 경력 근로자가 새로운 환경에서 안전 규정을 준수하며 모범이 된다면, 신입 근로자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와는 달리 경력 근로자가 교육 내용을 무시하고, 안전을 경시하는 태도를 보인다면 신입 근로자들은 물론 기존의 근로자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오직 전체의 안전문화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 한 가지 중요한 점은 경력 근로자가 가지고 있는 자신감입니다. 경력 근로자는 안전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이미 가지고 있다고 느끼기 때문에 자칫 새로운 환경의 위험 요소를 간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조직의 안전 기준과 절차를 철저히 이해하고 따르는 것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뿐만 아니라 경력 근로자가 기존에 익숙해진 작업 방식이나 안전 기준은 새로운 조직의 절차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과거의 습관이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신입과 경력 근로자를 위한 맞춤형 안전교육


신입 근로자를 위한 안전교육 전략

신입 근로자와 경력 근로자를 위한 안전교육은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르게 접근해야 합니다. 신입 근로자의 경우 많은 내용을 짧은 기간 내에 흡수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현장 경험이 없기 때문에 이론만으로는 현장의 상황에 공감하기 어렵다는 점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 쉽고 명확한 메시지 전달 : 예를 들어 “작업 전 점검은 생명을 지킵니다” 같은 간단하고 강렬한 문구를 통해 안전 행동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전달해야 하는 내용이 많을수록, 각 내용을 간략하게 만들어야 기억에 남습니다.

  • 이론과 실습 병행 : 작업 현장의 위험 요소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도록 돕는 실습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실제 작업 현장을 방문하는 방법도 있지만, 교육장 내에서 시뮬레이션이나 모의 상황 대응을 해보는 것도 효과적인 실습의 한 종류입니다.

  • 지속적 안전코칭 : 신입 근로자는 한 번의 교육으로 모든 내용을 숙지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반복 학습과 피드백 과정을 통해 교육 내용을 내재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경력 근로자를 위한 안전교육 전략

반면 경력 근로자는 기존 습관을 검토하고, 새로운 환경에 맞는 행동 방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경력 근로자의 풍부한 경험을 존중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해야 합니다.


  • 새로운 기준에 대한 공감대 형성 : 기존 경험과 새로운 조직의 안전 기준을 명확히 비교하며 재조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이들에게는 “다른 곳에서는 이렇게 했지만, 여기서는 이렇게 합니다”와 같은 공감을 유도하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 경험의 재방문 : 경력 근로자가 기존에 어떻게 작업했는지에서 출발해 새로운 환경에서 그 작업 방식이 어떤 위험을 가져오는지에 관해 논의할 때, 기존의 작업 방식을 자발적으로 검토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 동료 학습 촉진 : 경력 근로자에게 선배로서 신입 근로자들의 불안전 행동에 관해 조언하거나, 안전 행동에 관해 격려하는 역할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서로의 안전을 돌보는 관계를 형성하고 안전문화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안전문화 강화를 위한 골든 타임, 신규 입사자 교육


신규 채용 시점의 교육은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확립하고 이를 실천으로 연결시키는 시작점으로서 무척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특히, 안전문화를 강화하기 위해 신규 채용 시점의 교육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시기에 학습하는 내용이 이후의 작업 태도와 안전 행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안전교육을 단순한 형식적인 절차가 아닌, 조직의 안전문화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키는 계기로 만들고 싶으시다면, 세이프티온솔루션을 찾아주세요. 세이프티온솔루션은 맞춤형 교육 솔루션으로 조직의 특성에 맞춘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합니다.





[SAFER Coach 세인이와 함께 생각해 보기]

  • 우리 조직은 채용 시 안전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나요? 개선을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요?

  • 신입 근로자가 입사 초기의 안전교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이점은 무엇인가요?

  • 잘못된 안전 습관이 형성되었을 때 조직과 근로자에게 어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 경력 근로자가 새로운 조직의 안전 기준을 배우지 못했을 경우 어떤 위험 요소가 발생할 수 있을까요?

  • 신입 근로자에게 쉽고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어떤 방식의 교육이 효과적일까요?

  • 반복 학습과 피드백이 신입 근로자 안전교육에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 경력 근로자에게 기존 경험과 새로운 기준을 조화롭게 적용하도록 돕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참고문헌]

  • 성호경, & 강경식. (2001). 국내사업장 신규채용자의 안전교육 시스템에 대한 연구. 안전경영과학회지3(2), 65-71.

  • 신기남, 주선우, & 양상현. (2015).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현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교육 내용 및 방법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 및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16(5), 3484-3490.

  • 정민혁. (2024년 8월 27일). 안전보건교육 실태 및 문제점 지적 자리 마련돼. 안전신문. https://www.safet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1980

  • Grytnes, R., Nielsen, M. L., Jørgensen, A., & Dyreborg, J. (2021). Safety learning among young newly employed workers in three sectors: A challenge to the assumed order of things. Safety science143,






    105417.

  • Lawson, K. (2006). New employee orientation training. Routledge.

  • O'Kelley, K. (2019). New employees and safety culture: A social cognitive theory perspective. Professional Safety64(02), 37-40.

  • Tracey, J. B., Hinkin, T. R., Tran, T. L. B., Emigh, T., Kingra, M., Taylor, J., & Thorek, D. (2015). A field study of new employee training programs: Industry practices and strategic insights. Cornell Hospitality Quarterly56(4), 345-354.

조회수 15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Comments


bottom of page